top of page

중소기업 사이버위협 무방비 상태, 해킹 피해 90%나 돼 (한솔 뉴스)

최근 3년간 발생한 민간기업 해킹 1,300건 이상 발생, 이중 90%가 중소기업

올해 사이버위협 검거율 20.6%, 평균 검거율보다 낮은 수준, 시스템 해킹 44% 이상 발생


사이버위협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피해는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17일 한국인터넷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2021년 7월 말 현재까지 최근 3년간 해킹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민간기업이 1,383건으로 이중 중소기업이 1,246건으로 90% 이상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9년 418건, ▲2020년 603건, ▲2021년 7월 말 현재 362건이 발생했고, 월평균으로는 ▲2019년 34건, ▲2020년 50건, ▲2021년 7월 말 현재까지 5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남은 기간을 월평균으로 연말까지 산정했을 경우 최대 600건 이상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동안 기업 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이 1,246건의 피해를 입으면서 전체 90%를 차지했다. 이어, ▲비영리 기업 95건(7%), ▲대기업 42건(3%)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의 경우, ▲중소기업 338건(93%), ▲비영리 기업 15건(7%), ▲대기업 9건(2%) 등 전년도 대비 대기업과 비영리 기업은 감소했지만, 중소기업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킹 유형별로는 같은 기간동안 ▲시스템 해킹이 614건으로 전체 44%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이어 ▲DDos 1,246건(33%), ▲악성코드 감염‧유포 304건(22%) 순으로 나타났다.


올해의 경우, ▲시스템 해킹 160건(44%), ▲악성코드 감염‧유포 105건(29%), ▲DDos 97건(27%) 등 악성코드 감염‧유포가 DDos 보다 더 많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런데 경찰청이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9년부터 2021년 7월 말 현재까지 발생한 사이버위협 사건 현황을 분석한 결과, 사이버위협 발생 건수 9,653건 중 실제 검거된 건수는 2,262건으로 검거율 23%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19년 3,638건이 발생했고, 이중 28%인 1,007건이 검거됐다. ▲2020년에는 4,344건 중 911건(21%), ▲2021년 1,671건 중 344건(20.6%) 등 매년 검거 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올해 발생한 사이버위협 유형별 검거 건수는, ▲해킹 1,181건 중 176건(15%), ▲악성프로그램 76건 중 36건(45%), ▲디도스 7건 중 3건(43%), ▲기타 407건 중 131건(32%) 순으로 나타났다.


양정숙 의원은 “사이버위협으로 대기업 및 비영리 기업의 피해는 줄어들고 있으나, 중소기업의 피해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의 경우 ‘악성코드 감염‧유포’가 ‘DDos’보다 더 많이 발생함에 따라 적절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양 의원은 “사이버위협에 대한 검거 비율은 감소하는 추세로 해킹이 가장 많이 발생했지만 정작 검거 비율은 현저하게 낮아 민간기업의 사이버 해킹 피해가 우려된다”며, “사이버위협 발생 원인 분석을 통한 민간기업이 해킹 및 Ddos에 대해 원할하게 대처할 수 있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자료 : 양정숙 국회의원


한솔 뉴스, 국민을 위한 종합 언론 yunsrer@naver.com


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세계 10대 지진을 보면 보통 최소한 사람들이 1천명 이상 죽어 나가거나 1만명을 상회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한국도 안전 지대는 아닌 것이 최근에 경주에서 진도 5 이상의 지진이 있었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경주 포항은 건축물 등 재산 피해가 이만 저만이 아니었고 그에 국가에 배상을 요구했다 자연 재해 및 국가 재난에 대해서는 국가가 책임 지고 예방 및 사후

성 평등에 관한 법안들이 속속 들이 나오고 있다 주로 여성들의 사회 및 공직 진출에 관한 법안들이다 공무원과 국공립 교사의 수는 일찍이 남성을 추월하였다 하지만 아직도 고위 공무원의 수는 남성이 월등히 많은 현실이다 대통령 및 각 부 장관만 봐도 대부분 남자가 자리를 하고 있다 이는 명백한 성별의 차별로 보인다 여성도 고위 공직에 임하는 기회가 열려 있어야

발행일 : 2022년 12월 25일 전국의 인구는 5천1백만명으로 4천만 시대에서 5천만 시대로 완전히 넘어 왔다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2세대인 40대에서 60대까지 가장 많은 인구 분포를 보이고 있다 1950년대초 625전쟁이라고 불리는 한국 전쟁이 있었고 이 전쟁을 통해 한국 인구 당시 2천만명 중에 군인 및 민간인 등 한국인 사망이 5백만명 정도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