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인터넷 범죄에 무방비한 중소 사업장, 정부의 할 일은?

안동에서 농사를 짓던 이모씨는 업종을 변경하여 농촌 체험 학습장을 운영하고 있다 경작지의 일부를 숙박시설로 사용하여 10개의 객실을 운영하고 그 아래층은 식당 겸 체험 학습 강의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 이렇게 해서 여러 학교나 학생 단체를 고객으로 운영 중에 있다 이 체험학습장의 주요 체험 농작물로는 딸기와 참외, 사과이다 ​ 그 점 때문에 계절에 구애됨 없이 학생들의 농촌 체험 운영을 하고 있다 초기 읍사무소 등 지자체의 홍보 지원을 통해 안동 뿐 아니라 대구 의성 등 경북 등지에서 찾아 오고 있었다 ​ 점점 증가하는 예약 문의로 인해 홈페이지를 제작하게 되었고 점점 체계적으로 운영을 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운영 인력 또한 군청의 소개로 고용하게 되면서 명실 공히 이 학습장의 이름을 알리게 되었다 ​


어르신 농촌 체험 활동 (기사와 무관한 사진)

​ 그리고 다른 지역의 유사한 업종을 계획하던 농가에서는 유명세에 의해 직접 찾아와서 운영 노하우를 물어 보곤 했다 ​ 하지만 참외철이 끝나는 7,8월 무렵, 이제는 사과가 열매를 맺는 모습을 보여 주어야 할 그 시기에 하루에 홈페이지를 통한 예약 문의가 최하 2건 정도는 되던 것이 보름 동안 문의가 하나도 오지 않고 있다 ​ 그래서 친구들, 새끼들 시켜서 예약문의 페이지에서 테스트를 해 보지만 잘 되고 있다 그러다 군청에서 그 사이 예약 건이 3개 있다고 받았다 ​ 20일이 지나도 마찬가지라 네이버 광고에 문의를 해 보았다 전화도 하고 이메일 문의도 해 봤지만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 ​ 이제 점점 적자로 돌아 서려 한다 드디어 이룬 사업인데 어떻게 해서든 인터넷 오류를 해결하려 경찰서에 전화를 해 본다 만약 해킹에 관한 문제라면 증거가 있어야 한다는 답변을 듣는다 ​ 정보통신부도 마찬가지였다 농사꾼이 홈페이지가 문제가 생겼다고 정부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려 하는데 해킹 의 관련 증거를 대라? ​ 이모씨는 오열하며 항의를 해 보지만 인터넷 관련 문제에 대해서 개인이 먼저 증거를 수집해 오라는 상투적인 답변 뿐이다 ​ 이모씨는 해결을 하려고 하면 할 수록 날짜는 지나 가고 적자에 인건비나 관리비도 못 주게 되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었다 ​ 2달 째 근근이 군청으로부터 받는 일주일에 한두건의 예약을 안 받는 것이 차라리 더 나았지만 책임감 있게 운영을 하였다 ​ 홈페이지가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는 농사꾼으로서의 판단으로 홈페이지를 하나 새로 제작해 보았다 ​ 하지만 똑같았다 ​ 홈페이지 새로 만들고 시험한 4개월 째에 인건비, 관리비 등으로 여태 1년동안 모은 돈을 전부 쏟아 부었다 ​ 게다가 집념으로 그는 신용 대출까지 은행에서 3천만원을 받았지만 빚만 늘게 되었고 폐업 후 다시 농사를 짓고 있다 ​


​ 의문점) ​ ​ 이모씨는 홈페이지를 왜 새로 만들었을까? ​ ​ 왜 경찰서나 정보통신부에서는 이모씨의 정보 통신적인 피해에 대해 도움이 못 되었을까? 그럼 누가 도움이 되어야 할까? ​ ​ 농사꾼에게 해킹의 증거를 직접 마련해라? ​ ​ 총선 때 다수 언급된 민생 법안이란 어떤 걸까? ​ ​ ​ ​ 한솔 뉴스, 국민을 위한 종합 언론 yunsrer@naver.com ​ 한솔 뉴스는 민생 관련 등 모든 분야에서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

[출처] 인터넷 범죄에 무방비한 중소 사업장, 정부의 할 일은? (한솔 뉴스)|작성자 한솔 뉴스

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는 9월 25일부터 전신마취 등 의식이 없는 상태의 환자를 수술하는 의료기관은 수술실 내부에 CCTV를 반드시 설치해야 한다. 그리고 정부는 수술실 내 CCTV 설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비용을 지원할 수 있다. 개정된 「의료법」에 따라 의료기관의 장 등은 환자 또는 환자의 보호자가 요청하는 경우 의식이 없는 상태의 환자를 수술하는 장면을 CC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