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데이트폭력 신고는 2배 늘었지만 구속 수사는 반토막 (한솔 뉴스)

- 2020년 검거인원 대비 구속수사 비율인 구속수사율 2.68% - 데이트폭력으로 검거된 가해자 100명 중 97명이 불구속 ○ 지난 5년간 데이트폭력 신고는 2배 이상 증가했지만, 구속 인원은 절반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의원(증평ㆍ진천ㆍ음성)이 경찰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2020년 데이트폭력 신고 건수는 18,945건으로 2016년 9,364건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반면, 검거인원은 2016년 8,367명에서 2017년 10,303명으로 1,936명(23.13%) 증가했지만, 이후 다시 감소하여 2020년에는 8,982명이 검거됐다. 5년 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다. 구속인원은 2016년 449건에서 2020년 241명으로 208명(46.33%) 감소했다. ○ 가장 많이 신고된 범죄는 폭행·상해로 2016년 6,483건에서 2020년 12,256건으로 5,773건(89.05%) 증가했다. 검거인원은 6,233명에서 6,416명으로 183명(2.94%)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구속인원은 151명에서 112명으로 39명(25.83%) 오히려 감소했다. ○ 또한, 2020년 데이트폭력 구속수사율이 2.6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트폭력으로 검거된 가해자 100명 중 97명이 불구속 상태에서 수사를 받은 것이다.



○ 범죄유형별로 살펴보면 살인 및 살인 미수를 제외한 모든 범죄에서 구속수사율이 감소했다. 성폭력의 경우 2016년 33.04%에서 2020년 25.49%로 7.55%p 감소했으며, 체포·감금·협박은 13.37%에서 5.57%로 7.80%p 감소했다. 구속수사율이 가장 낮은 범죄 유형인 폭행·상해는 2.42%에서 1.75%로 0.68%p 감소했다. ○ 데이트폭력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가 없어, 폭행죄 등 일반 형법을 다루는 기준에서 수사가 진행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데이트폭력은 ‘노원 세 모녀 살인사건’과 같이 언제든 살인, 강간, 상습폭행 등의 강력범죄로 발전할 개연성이 크다. ○ 임 의원은 “데이트폭력은 가해자가 피해자에 대한 가족·자택 및 직장 주소 등의 개인정보를 충분히 알고 있는 친소관계에서 발생한 범죄라는 사실을 간과한 것이다”며, “접근금지 명령, 유치장·구치소 유치 등 스토킹 처벌법이나 가정폭력처벌법에 준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자료 : 임호선 국회의원

한솔 뉴스, 국민을 위한 종합 언론 yunsrer@naver.com

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세계 10대 지진을 보면 보통 최소한 사람들이 1천명 이상 죽어 나가거나 1만명을 상회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한국도 안전 지대는 아닌 것이 최근에 경주에서 진도 5 이상의 지진이 있었다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경주 포항은 건축물 등 재산 피해가 이만 저만이 아니었고 그에 국가에 배상을 요구했다 자연 재해 및 국가 재난에 대해서는 국가가 책임 지고 예방 및 사후

성 평등에 관한 법안들이 속속 들이 나오고 있다 주로 여성들의 사회 및 공직 진출에 관한 법안들이다 공무원과 국공립 교사의 수는 일찍이 남성을 추월하였다 하지만 아직도 고위 공무원의 수는 남성이 월등히 많은 현실이다 대통령 및 각 부 장관만 봐도 대부분 남자가 자리를 하고 있다 이는 명백한 성별의 차별로 보인다 여성도 고위 공직에 임하는 기회가 열려 있어야

발행일 : 2022년 12월 25일 전국의 인구는 5천1백만명으로 4천만 시대에서 5천만 시대로 완전히 넘어 왔다 베이비붐 세대와 베이비붐 2세대인 40대에서 60대까지 가장 많은 인구 분포를 보이고 있다 1950년대초 625전쟁이라고 불리는 한국 전쟁이 있었고 이 전쟁을 통해 한국 인구 당시 2천만명 중에 군인 및 민간인 등 한국인 사망이 5백만명 정도로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