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경의선 하다 말고 동해북부선?

2년 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이 평화를 위해 합의한 427판문점 선언을 기념하여 동해북부선의 첫 삽을 내년 말 뜨기 위해 2조 8천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사업의 요지는 625전쟁 후 멈춰 있던 남한 강릉에서 북한 재진의 구간을 다시 잇고 평화 통일을 위한 상징으로 쓰는 것이다  ​ ​ 다음 북한 원산을 통해 유러시아 횡단 철로를 목표한다고 한다 ​ 이는 헌법 상 대통령의 의무 사항이기도 하다 ​ ​ 하지만 여론은 곱지만은 않다 ​ ​ 우선 안전에 대한 우려감을 느끼고 있다  ​ 김대중 정부와 함께 시작된 금강산 관광 사업이 10년 만에 우리 금강산 관광객 1명이 북한군에 의해 총으로 사살 당했다


출처 : 국토 해양부

​ 그렇게 금강산 사업은 중단되고 그 호텔은 김정은 및 북한 권력자들의 아방국으로 쓰인다는 말이 있다 ​ ​ 두번째 강원도의 의견을 수렴했는지 여부다 ​ ​ 문재인과 여당 정책 사업이고 그들을 지지한 층은 서울 경기 등 서부권이다 하지만 강원도민들의 정치적 생각과는 무관하게 강원도를 잇게 된다 ​ ​ 만약 이 선로가 현실화 된다면 북한인과 남한인이 교류를 하는 교통로가 될 것이고 서로의 시각차에 의해 다툼이나 사건이 벌어질 지도 모르는 일이다



​ 이 선로를 남으로는 삼척을 통해 포항까지 점차적으로 확대할 전망이라 한다  ​ 남쪽으로 갈 수록 여당에 대해 반감을 갖고 있는 주민들이 과연 호락호락 공사하게 놔 둘까? ​ ​ 2000년 김대중 정부는 615남북공동선언을 하고 서울과 신의주를 이어 베를린까지 향하는 경의선 복원 사업을 진행하였다 ​ 하지만 흐지부지 되었고 이번에 동해북부선으로 다시 시작한다 ​ ​ 민주당이 가장 신경쓰는 공약이자 정책이 왜 그들의 사는 곳에서 진행되지 않을까?



​ 기피 시설이라고 한다 그들이 원하는 남북 화해를 그들의 주거지에서는 건립되지 않고 있다 ​ 그렇게 좋은 뜻에서 헌법의 이념에 부합한다면 그리고 김대중의 햇볓정책을 이어 나간다면 경의선을 마져 이어야 하지 않을까? ​ ​ 셋째 관광 교통로로서의 의문이다 ​ ​ 관광 산업에서 관광객은 경제력이 있거나 여유가 있을 때 수요자가 될 수 있다 북한 인민은 돈에 대한 의미도 모르고 북한 경제는 베일에 가려져 있다


​ 혹은 우리 내수 시장에서 강릉과 삼척 그리고 포항을 이으며 관광 산업의 교통로로 기여한다고 생각한다면 수요가 될까 3개 도시 인구를 다 합하면 100만이 약간 넘는다 지금도 수요가 없어서 보통 버스로 움직이고 있다 ​ ​ 2조8천억을 연령과 경제권에 상관없이 5천만 인구로 나누어 봤다 1인당 5만6천원이 된다 ​ 누가 봐도 사업성이 없는 사업이다 금강산 사건이라는 공포가 회상이 된다 하지만 작은 지자체라고 국가의 일방적 선택 당하려고 세금을 내지는 않았을 것이다 ​ ​ 우리의 소원은 국가로부터 쇠뇌 당했다 혹은 통일하기에는 너무 남북이 달라 졌다  ​ 우리의 소원이 이루어지기에는 은연 중에 남한의 정부도 한반도 반대편 저 멀리 동해바다 넘실 대고 인적드문 곳으로 선택할 만큼 사양 산업이다


출처 : 국토 해양부

​ 평화를 서로 합의한 판문점 회담 이후에도 북에서는 꾸준히 미사일을 쏘아 대고 있다 ​ ​ 연스레 한솔 뉴스, 국민을 위한 종합 언론 yunsrer@naver.com ​ ​

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부산시(시장 박형준)는 ‘2023년 서비스 강소기업’ 15개 사를 선정하고, 15일 오후 2시 시청 26층 회의실에서 인증서를 수여한다고 밝혔다. 시는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비즈니스서비스, 영상․콘텐츠, 관광․마이스(MICE), 물류, 정보통신기술(ICT), 금융, 의료 등 집중육성 서비스산업 분야에서 경쟁력과 성장 가능성 있는 기업 100개 사를 선정

bottom of page